정부는 2025년 2월 28일, 새로운 근로장려금 산정표를 발표했습니다. 총급여액에 따른 근로장려금 지급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계산을 해서 근로장려금을 알 수도 있는데, 계산이 어려운 분들은 아래 표를 보고 대략적인 나의 근로장려금 수령액을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조세특례제한법령 상 근로장려금 산정표 (요약)
이 표는 총급여액을 기준으로 받을 수 있는 근로장려금을 정리한 것입니다.
표의 좌측 2줄은 총급여액의 범위이고, 우측 3줄은 단독/홑벌이/맞벌이 가구에 따른 근로장려금 지급액입니다.
실제 산정표는 4만원부터 시작하여 4400만원까지 10만원 단위로 근로장려금 지급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매우 긴 표입니다.
실제 근로장려금 산정표가 너무 길어서 이 글에서는 요약했습니다. 100만원 단위의 첫번째 구간 금액만 모았습니다.
총급여액 등 | 가구원 구성에 따른 근로장려금 | |||
이상 | 미만 | 단독가구 | 홑벌이 가구 | 맞벌이 가구 |
1,000,000 | 1,100,000 | 454,000 | 454,000 | 해당 없음 |
2,000,000 | 2,100,000 | 867,000 | 867,000 | 해당 없음 |
3,000,000 | 3,100,000 | 1,279,000 | 1,279,000 | 해당 없음 |
4,000,000 | 4,100,000 | 1,650,000 | 1,670,000 | 해당 없음 |
5,000,000 | 5,100,000 | 1,650,000 | 2,077,000 | 해당 없음 |
6,000,000 | 6,100,000 | 1,650,000 | 2,484,000 | 2,517,000 |
7,000,000 | 7,100,000 | 1,650,000 | 2,850,000 | 2,929,000 |
8,000,000 | 8,100,000 | 1,650,000 | 2,850,000 | 3,300,000 |
9,000,000 | 9,100,000 | 1,650,000 | 2,850,000 | 3,300,000 |
10,000,000 | 10,100,000 | 1,524,000 | 2,850,000 | 3,300,000 |
12,000,000 | 12,100,000 | 1,270,000 | 2,850,000 | 3,300,000 |
13,000,000 | 13,100,000 | 1,143,000 | 2,850,000 | 3,300,000 |
14,000,000 | 14,100,000 | 1,016,000 | 2,850,000 | 3,300,000 |
15,000,000 | 15,100,000 | 889,000 | 2,692,000 | 3,300,000 |
16,000,000 | 16,100,000 | 762,000 | 2,534,000 | 3,300,000 |
17,000,000 | 17,100,000 | 635,000 | 2,375,000 | 3,300,000 |
18,000,000 | 18,100,000 | 508,000 | 2,217,000 | 3,178,000 |
19,000,000 | 19,100,000 | 381,000 | 2,059,000 | 3,056,000 |
20,000,000 | 20,100,000 | 254,000 | 1,900,000 | 2,934,000 |
21,000,000 | 21,100,000 | 127,000 | 1,742,000 | 2,812,000 |
22,000,000 | 22,100,000 | – | 1,584,000 | 2,689,000 |
23,000,000 | 23,100,000 | – | 1,425,000 | 2,567,000 |
24,000,000 | 24,100,000 | – | 1,267,000 | 2,445,000 |
25,000,000 | 25,100,000 | – | 1,109,000 | 2,323,000 |
26,000,000 | 26,100,000 | – | 950,000 | 2,200,000 |
27,000,000 | 27,100,000 | – | 792,000 | 2,078,000 |
28,000,000 | 28,100,000 | – | 634,000 | 1,956,000 |
28,100,000 | 28,200,000 | – | 618,000 | 1,944,000 |
28,200,000 | 28,300,000 | – | 602,000 | 1,932,000 |
28,300,000 | 28,400,000 | – | 586,000 | 1,919,000 |
28,400,000 | 28,500,000 | – | 570,000 | 1,907,000 |
28,500,000 | 28,600,000 | – | 555,000 | 1,895,000 |
28,600,000 | 28,700,000 | – | 539,000 | 1,883,000 |
28,700,000 | 28,800,000 | – | 523,000 | 1,870,000 |
28,800,000 | 28,900,000 | – | 507,000 | 1,858,000 |
29,000,000 | 29,100,000 | – | 475,000 | 1,834,000 |
30,000,000 | 30,100,000 | – | 317,000 | 1,712,000 |
31,000,000 | 31,100,000 | – | 159,000 | 1,589,000 |
32,000,000 | 32,100,000 | – | – | 1,467,000 |
33,000,000 | 33,100,000 | – | – | 1,345,000 |
34,000,000 | 34,100,000 | – | – | 1,223,000 |
35,000,000 | 35,100,000 | – | – | 1,100,000 |
36,000,000 | 36,100,000 | – | – | 978,000 |
37,000,000 | 37,100,000 | – | – | 856,000 |
38,000,000 | 38,100,000 | – | – | 734,000 |
39,000,000 | 39,100,000 | – | – | 612,000 |
40,000,000 | 40,100,000 | – | – | 489,000 |
41,000,000 | 41,100,000 | – | – | 367,000 |
42,000,000 | 42,100,000 | – | – | 245,000 |
43,000,000 | 43,100,000 | – | – | 123,000 |
43,800,000 | 43,877,300 | – | – | 25,000 |
43,877,300 | 43,900,000 | – | – | – |
43,900,000 | 44,000,000 | – | – | – |
근로장려금 지급액 분석
근로장려금은 소득이 일정 기준 이하인 근로자, 사업자, 종교인을 대상으로 정부가 지급하는 지원금입니다. 근로의욕을 고취하고 소득을 지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매년 지급 기준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근로장려금은 가구 유형에 따라 지급액이 달라지죠. 단독가구, 홑벌이 가구, 맞벌이 가구로 나쥡니다.
근로장려금 지급액은 총급여액이 증가한다고 계속 증가하지는 않습니다. 산 모양의 그래프를 그립니다. 총급여액이 일정 수준일 때 최고 금액을 받을 수 있고, 그보다 적거나 많아질 수록 지급액은 줄어듭니다.
2025년 근로장려금 지급 패턴 분석
단독가구
- 최대 지급액: 1,650,000원 (총급여액 연 4,000,000원 ~ 9,000,000원 구간)
- 총급여액이 증감하면 단계적으로 지급액이 감소
- 총급여액 22,000,000원 초과 시 지급 중단
홑벌이 가구
- 최대 지급액: 2,850,000원 (총급여액 연 7,000,000원 ~ 14,000,000원 구간)
- 총급여액 15,000,000원 이후부터 점진적 감소
- 총급여액 32,000,000원 초과 시 지급 중단
맞벌이 가구
- 최대 지급액: 3,300,000원 (총급여액 연 8,000,000원 ~ 15,000,000원 구간)
- 총급여액 16,000,000원 이후부터 점진적 감소
- 총급여액 43,877,300원 초과 시 지급 중단
마무리
이 정보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혹시 원자료를 궁금해하실 분들을 위해 아래에 PDF 문서를 남깁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