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차리는 데도 외워지지 않는 설, 추석 명절 차례상 상차림! 이번엔 꼭 외워둬야지 하는 마음으로 꼼꼼히 상차림을 해도 다음 명절엔 다시 인터넷을 찾아봐야 하죠.
이번엔 꼭 외우자는 마음으로 포스팅을 정리합니다.
명절 차례상 차리는 방법 ; 제사상 용어를 중심으로
제사상 용어는 동서남북과 몇 가지 한자어를 알고 있으면 쉽게 알 수 있어요. 그런데 우리가 한자에 익숙하지 않다보니 어렵게 느껴질 뿐입니다.
아래 표에 한자 글자는 몰라도 음과 뜻을 중심으로 설명해 둔 것입니다.
0 열 | 신위 | 학생부군신위~ 라고 종이를 붙이는 걸 신위라고 합니다. |
1열 (밥, 국) | 반서갱동(飯西羹東) 밥-잔-수저-탕국or떡국 | 반=밥, 갱=국 밥은 서쪽에, 탕국은 동쪽에 두라는 말입니다. |
2열 (생선, 육류) | 어동육서(魚東肉西) 두동미서(頭東尾西) | 2열은 생선과 육류를 올립니다. 어류는 동쪽, 육류는 서쪽 생선대가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생선 이름에 ‘치’ 들어가는 생선은 사용 안함 |
3열 (탕류) | 어동육서 | 서쪽부터 육탕, 소탕(두부, 채소), 어탕 순 탕은 홀수로 올림 |
4열 (포, 식혜, 김치, 나물) | 좌포우혜 | 왼쪽 북어, 대구, 오징어 등의 포 오른쪽 식혜 동쪽에 김치, 서쪽에 익힌 나물 |
5열 (과자, 과일) | 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약과, 강정 순 과일은 홀수로 올림 붉은 과일(사과 등)은 동쪽, 흰 과일(배 등)은 서쪽 |
위 표에서 동서 방향은 상을 차리는 사람을 기준으로 합니다. 음식을 먹는 조상님이 아니라 상을 차리는 자식들 기준으로 한다는 거죠.
아마 상차림에 대한 제사상 용어는 이것보다 많은 겁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이 정도만 알고 있어도 굉징히 똑똑한 수준이죠.
그리고 이 정도 원칙을 기억하고, 나머지 디테일은 지역마다 가정마다 조금씩 다르게 적용합니다. 집집마다 식탁 예절을 다르게 하는 것처럼 차례 상차림도 다를 수 있어요.
다시 강조하지만 꼭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원칙은 이겁니다.
모든 음식은 홀수로 올린다는 것
생선은 이름에 ‘~치’로 끝나는 건 올리지 않는다는 것
고추가루나 마늘 등의 양념이 안된 상태로 음식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
요즘 누가 차례상 차리냐고?
차례 안 지내는 집이 더 많아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가족 간 이야기를 나누고 외식하는 시간을 갖는 집들이 많아졌어요. 물론 식구들 모두 상의해서 정하는 거죠.
코로나 팬데믹 이후 이런 명절 풍속도는 더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세대가 바뀌면서 전통에 대한 부담을 내려놓고 있어요. 여성의 경제 활동 증가로 제사 준비도 모두가 하거나, 아예 안하는 분위기이고요.
다만, 조상에게 감사한 마음을 갖고 가족들끼리 화목하게 지내려는 노력은 변해서는 안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