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키우다 보면 아픈 날이 생기는 게 당연합니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아이가 감기에 걸려 결석하게 되는 경우가 심심치 않게 생기더라고요. 이때 질병결석 처리를 하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질병결석 처리 방법과 주의사항 등에 대해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초등학생 아이가 질병결석한 날
아이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힘이 없다고 합니다. 얼굴 표정이 평소와 다릅니다.
이마에 손을 얹으니 뜨거웠고, 얼굴이 좀 부어 보입니다. 놀란 마음에 체온계를 찾아 열을 재보니 38도가 훌쩍 넘어요. 고열.
“오늘은 학교 못가겠다”
예전엔 아파도 학교에 가서 조퇴를 하는 게 미덕이었지만, 요즘은 학교를 안보내는 게 낫습니다. 다른 친구들에게 전염이라도 시키면 눈총받을 수 있거든요.
아이가 억지로 학교에 앉아있다고 수업을 제대로 들을리 없죠. 그것보다 얼른 병원에 다녀온 후 푹 쉬게 하는게 빨리 낫게 하는 겁니다.
다만, 학교 선생님께 미리 알리고 질병결석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아픈 아이의 부모, 이렇게 움직여야 해요.
아이가 아프다고 해서 그냥 쉬게 하는 것이 능사는 아닙니다. 아이의 보호자로서 챙겨야 할 일들이 있어요.
우선, 학교에 연락을 해야 합니다. 아이 체온을 재고, 집에 있는 해열제를 챙기고, 따뜻한 물을 데우는 동시에 학교 선생님께 연락을 해야 합니다.
평소에 담임 선생님과 연락하는 방법은 선생님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개인 전화를 이용하는 분도 있고요, 학급 메신저나 앱으로 연락을 취하는 분도 계세요. 저는 주로 휴대폰으로 연락했습니다. 선생님의 출근 시간을 감안해서 등교시간이나 그보다 5~10분 정도 미리 연락했습니다.
선생님께 아이 상태를 말하면 선생님이 어떻게 조치할 지 간단히 알려주세요. 하루 이틀 정도만 결석할 경우엔 부모님의 확인만으로 병결 처리 해주기도 해요. 결석계를 작성해달라는 선생님도 계시고, 처방전이나 약봉투 등을 보여달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참고로 3일 이상 결석할 때에는 조금 까다로워집니다. 제출서류가 좀 더 공식적인 문서여야 해요. 의사소견서, 진료확인서, 입원확인서 중 하나를 제출해야 합니다.
학교에 연락을 취했으면 아이를 데리고 병원에 가서 진료를 보고 약을 타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서류 중에서 선생님께서 요청하신 것을 잊지 말고 챙겨주세요~
다음 등교일에 아이 가방에 처방전을 아이 가방에 넣어줬어요. 그리고 “선생님께 꼭 전달하라”고 아이에게 일러두었습니다.
아래에서는 질병결석과 관련한 정보를 정리해 볼게요.
질병결석 처리 시 꼭 알아야 할 것들
1. 결석의 종류
- 질병결석(병결): 아픈 경우
- 미인정 결석: 무단결석
- 기타 결석: 가족여행, 체험학습 등 (학교장 승인 필요)
2. 결석 기간에 따른 서류
- 1~2일 결석:
대부분은 부모 확인 또는 처방전, 약봉투로 인정
(학교마다 다름 – 사전 확인 필수) - 3일 이상 결석:
- 진료확인서, 의사소견서, 입원확인서 중 하나 필요
- 일부 학교는 의사소견서만 인정하기도 함
3. 출석으로 인정되는 결석
- 법정 감염병 감염
-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 집안 경조사
- 여학생 생리 결석
📌 꼭 기억할 출석 기준
- 초등학교 총 수업일수: 190일
→ 2/3 이상 출석(127일 이상) 해야 학년 수료 가능
출석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무리해서 등교하는 것보다 건강 회복이 우선, 하지만 학교 규정을 잘 확인하고 처리하는 것이 부모 입장에선 꼭 챙겨야 할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