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이슬람 저항 운동 ‘하마스’ 알아보기: 개요, 뜻, 사건정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끝나지 않았는데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일어날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마스의 기습공격으로 시작된 이스라엘과의 무력 충돌이 전면전으로 확산될 것이란 우려가 나옵니다. 미국과 이란의 대리전이 될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하마스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마스에 대한 알아보기 위해 이번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하마스 알아보기
하마스 알아보기

Hamas 하마스 개요

하마스는 팔레스타인 이슬람 저항 운동입니다. 팔레스타인 입법평의회의 거대 야당이자 다수당인 동시엔 팔레스타인의 이슬람주의 정당 또는 준군사조직 또는 테러 단체입니다. 현재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를 지배하고 있습니다.

하마스(아랍어: حماس, Hamas)는 팔레스타인의 수니파 이슬람주의와 민족주의를 고수하는 정당이자 준군사조직입니다. 정당이 군사조직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체제에서는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미국와 영국, 이스라엘, 오스트레일리아, 유럽연합, 뉴질랜드, 캐나다 등 영미권 및 유럽 국가들은 이 단체를 정당이 아닌 테러 조직으로 취급하고 있습니다.

하마스 뜻

하마스는 이스라엘에 대항하는 팔레스타인 무장 저항 운동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하마스’란 이름은 ‘하라캇 알무카와마 알이슬라미야(아랍어)’의 줄임말로 “이슬람 저항 운동”이라는 뜻입니다. 아랍어에서는 “힘”과 “열정”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또한, 아랍어 어휘 ‘하마스(حماس)’는 알라를 향한 헌신과 열정을 나타내며, 하마스 자체에서는 ‘힘과 용기’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보통 영어의 두문자어는 대문자로 표기하지만, 하마스는 아랍어의 두문자어로서 자체의 공식 매체에서도 ‘HAMAS’ 대신에 ‘Hamas’로 표기합니다

이 조직은 ‘이즈 앗딘 알 카삼 여단(كتائب الشهيد عز الدين القسام)’을 포함한 여러 무장 단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여단의 이름은 팔레스타인 독립군의 지도자이자 성직자였던 셰이크 이즈 앗딘 알 카삼(عز الدين القسام)을 기리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셰이크는 1935년에 영국군에 의해 사살되었지만 현재까지도 팔레스타인인들에게 영웅으로 여겨집니다. 또한, 팔레스타인에서 사용되는 유명한 로켓 ‘까삼’ 역시 이 셰이크의 이름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하마스 창당(내지 조직화)

팔레스타인에서 민중 지식인으로 여겨지는 아흐메디 야신 등이 조직했습니다. 이들은 이스라엘 무장 투쟁인 ‘제1차 인티파다’를 계기로1987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인티파다(Intifada)’는 아랍어로 봉기, 반란, 각성 등을 뜻합니다. 팔레스타인 민족 입장에서는 반 이스라엘 투장 내지 민중봉기를 뜻합니다.

1987년 팔레스타인인들은 이스라엘의 압제에 반항하는 봉기(1차 인티파다)가 일어나자 이집트의 무슬림 형제단의 팔레스타인 지부가 독립적인 단체로 조직됐습니다. 이스라엘 정부가 1차 인티파타를 진압하자 이에 대한 보복 행위를 1989년 벌여 세상에 알려지게 됐습니다.

하마스가 인티파다의 선봉이 되어 팔레스타인 독립을 요구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스라엘의 팔라스타인 민족에 대한 차별이 인티파다를 확산시킨 계기가 됐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하마스의 시기별 사건 정리

  • 1991년, 이즈 안딘 알카삼 여단 창설. 이스라엘군에 본격적인 공격을 가함.
  • 1993년, 민간인에 대한 자살 테러 공격을 벌임. 과격한 수단을 채택하여 비난을 받기 시작.
  • 2000년, 2차 인티파다에서 팔레스타인 독립의 주도 세력으로 떠오름. 기존의 팔레스타인 분리 독립 주도세력이었던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가 약화되면서, 하마스가 주류 세력이 된 것이다.
  • 2003년, 이스라엘에 대한 하마스의 테러가 이어졌고 이를 통제 못하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를 이스라엘 정부가 공격하고 통치권을 박탈함. 이 강경책이 팔레스타인 인들의 반발을 샀고 하마스를 더욱 지지하게 만듬.
  • 2005년, 이스라엘은 가자 지구 등 21개 국경 인근 지역에서 유대인 정착촌을 철수함.
  • 2006년, (팔레스타인 자치 지구)총선거에서 하마스가 다수당 차지함. 자치 정부의 통제권 약화와 이스라엘의 변경지역 철수로 하마스의 세력이 커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하마스는 자치 정부 안으로는 파타 당과 갈등, 대외적으로는 아스라엘의 경제 봉쇄가 강화돼 하마스의 지배력은 오히려 약화됨.
  • 2012년, 이스라엘 군은 당시 하마스의 리더 아흐메드 알 자바리를 미사일로 공격해 사살함. 이에 하마스도 로켓 공격을 감행했고, 양측의 교전이 이어짐. 하마스는 수장을 읽었지만 세력 자체에 타격을 입지 않고, 오히려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비가입 참관국으로 인정받음.
  • 2014년 자체 여론조사에서 팔레스타인 국민 63%가 하마스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됨.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